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사할때 미리알아두면 좋은 꿀팁과 주의할점

by 바람이랑 2022. 8. 4.
728x90

집 계약을 하고 이사를 할 때 생각보다 준비하고 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차근차근 미리미리 준비해두고 정리해두고 이사할 집 계약 전 주의할 점등을 잘 숙지한다면 이상 당일에 좀 더 수월하고 기분 좋은 이사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소소하게 잘 준비해야 할 일들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사할 집  소소하게 미리 알아두면 좋은 꿀팁

 

 

이사
이삿짐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이사할 집 계약전 반드시 등기부등본 확인부터 하기

 

대법원등기소
대법원등기소 캡쳐(출처-대법원등기소)

 

이사할 집이 너무맘에들어 앞뒤 보지도 않고 덜컥 계약부터 하시면 큰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부동산 중개업자가 잘 확인하고 중계하겠지만 혹여의 불상사는 어디서든 나올 수 있으므로 항시 조심, 신중은 백번을 얘기해도 나쁘지 않습니다.

 

■우선 계약전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여 계약서 주소가 일치하는지 확인을 한다

■등본상의 소유자와 계약서상의 집주인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전셋집 계약인 경우 근저당이 얼마나 잡혀있는지 지금의 계약금액을 제외한 근저당이 전세계약금과 근저당 금액을 합했을 시 집의 시세보다 많다면 나중에 혹여나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전세금을 다 못 받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등기부 등본 발급받는 곳은 대법원등기소에서 접속해서 집주소를 검색하면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http://www.iros.go.kr/) 이곳으로 접속하시면 등기부 등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삿짐은 미리,귀중품은 개인이 직접

 

 

완전포장업체를 맏기면 간편하고 쉽다고 생각하지만 이사를 할 겨우 그간 쌓아놓고 필요 없는 물품 버려야 할 물건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그런 물품까지 전부 포장업체는 가지고 가서 풀어놓기에 미리미리 버릴것은 버리고 정리를 해놓는 것이 시간을 아끼고 이사 갈 곳의 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사후 바로 사용해야 하는 것들은 따로 구분해놓는 게 좋습니다. 그거 찾는다고 모든 상자를 열어보는 수고를 덜 수 있습니다.

 

귀중품 돈,금은 보석류,등등은 한군대에 모아서 개인이 직접 보관하고 있는 것이 나중에 혹시 있을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사업체 찾기

 

원래 잘아는 이 사업제가 있다면 좋겠지만 이사라는 것이 자주 가는 것이 아니라 어떤 곳이 좋은 이사업체이며 합리적인 가격으로 일을 해주는지 알 수 없습니다.

 

아무 업체나 맡겨서 물품 도난이나 파손을 겪어 서로 이사 후 시 시비를 가리는 경우도 종종 있기에 신중해야 합니다.

이사업체는 되도록 많은 업체와 최소 2~3개 업체와 직접 미팅을 해보는 것이 제가 생각하기에는 가장 합리적이다고 생각됩니다.

 

이사업체마다 물품량 측정하는 방법과 이사 방법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꼼꼼히 체크하고 좋은 업체에 맡겨야 나중에 하자 없는 기분 좋은 이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요즘은 직접 방문이 부담스러운 분들을 위해 비교견적 서비스를 온라인상에서 상세히 알아보는 것도 가능하니 인터넷으로 여러 업체를 비교해보는 것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사날짜를 잘 확인하고 이사업체와 차질 없이 진행하셔야 합니다. 입주날짜와 이사날짜가 달라버리면 보관이사를 해야 하므로 짐을 두 번 옮겨야 돼무로 생돈과 더불어 짐을 컨테이너에 방치해야 하므로 그런 불상사 없이 잘할 수 있는 업체와 계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품 배치 미리 계획하기

 

평면도면
평면도면(출처-픽사베이)

 

 

 

 

이사할 집의 구조를 미리 파악하기 위해 새 아파트 입주라면 평면도를 구하거나 모델하우스에서 미리 확인하고 내가 가지고 있는 가구나 물품을 어디에 둘지 미리미리 계획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 아파트나 주택이라 할지라도 구청에서 평면도를 직접 발급받을 수 있는데 입주 전 소유자가 있다면 소유자의 동의를 구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기에 큰 그림을 그려 거실 방 화장실 등 간단한 구조만 직접 확인하시고 그 구조에 맞게 미리 가구 및 가전제품을 놓을 자리를 정해놓으면 이사 당일 이삿짐 업체 직원들과 즉흥적으로 여기다 놓을까요? 할 때 대충 놓고 다시 이사를 다하고 힘들게 옮기는 일없이 큰 틀을 잡아 쉽게 쉽게 이사할 수 있습니다.

 

이사할 시 그 외 각종 주소변경 및 불필요 물품 정리 팁

 

 

은행, 신용카드 회사 주소변경

 

주소변경
신용카드,은행 주소변경(출처-KT주소변경 사이트)

 

주소변경 원클릭 서비스로 한 번에 은행, 신용카드  주소지를 간편히 변경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와 무관하게 주소지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https://www.ktmoving.com/)

 

 

 

우편물 주거이전 서비스

 

우편물 주거이전
우편물 주거이전

 

인터넷 우체국을 통해 간 편이 각종 우편물 주거이전 변경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우체국 주거이전 신청 (https://www.epost.go.kr/)

 

 

무료 가구 수거 서비스

 

재사용가구무료수거
재사용 가구 무료수거

 

이사를 할 경우 가구들을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사 전 쓰던 가구를 처분할결우 여간 쉬운 것이 아닙니다. 비용을 들여 스티커를 붙여 집 앞에 놔둬야 하는데 가구가 크고 무겁다면 난감하게 그지없습니다.

 

이경우 무료 수고를 해주시는 곳이 있습니다. 일부 지역이긴 하지만 해당 지역에 살고 계기다면 참고하시고 이용하시면 좋을 듯합니다.(수거 가능지역▶경기도 수원/화성/용인/오산/고양/인천/김포/일산(일부 지역)/서울(일부 지역)

 

※ 한국그린센터(https://www.koreagreen.org/)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절차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입니다. 확정일자를 받지 않으면 만약 전세 세입자라면 나중에 아주 큰 불상사를 당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확정일자는 꼭! 받으셔야 합니다. 가까운 주민센터나 인터넷 민원 24(전입신고)/대법원 인터넷등기소(확정일자)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소소하기는 하지만 꼭 해야 할  이사 전/후 필요한 정보를 알아봤습니다. 이사에 조그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