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분석-

by 바람이랑 2022. 3. 28.
728x90

청년 도약 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 어떤 것이 유리할지 비교해봤습니다. 각자 취양에 맞게 장단점이 있기에 무엇이 좋다, 아니다가 아닌 알기 쉽게 비교해보고 빠른 결정으로 좀 더 유리한 득이 될 수 있는 정보이길 희망합니다.

1.-청년 도약 계좌-

윤석열 대통령 당선 이인 공약으로 발표한 청년 도약 계좌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공약을 지키기 위해 공표를 할 것인데 먼저 빠르게 이해하고 결정해서 빨리 시작한다면 좋은 결실을 맺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우선 청년희망적금과 다른 점은 소득에 제약이 없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지원 대상 1987년~2003년생(만19~34세) 중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사람   
납입금액 월 70만원 까지 가능  
정부 지원  금액 1억만들기
가입소득에 따른 차등적 정부지원금
1.연소득 2400만원 이하 매월40만원
2.연소득 2400만~2600만원 매월 20만원
3.연소득 3600만~4800만원 매월 10만원
4.연소득 4000만원 이상은 비과세 혜택

 
상품 운용 형태 주식형.채권형.예금형 선택가능  

 

 

청년 도약 계좌의 경우는 소득이 있기만 하면 되고 아직까지 소득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하지만 소득이 4800만 원이 넘어갈 경우 사실사 가입의 실익이 없습니다.) 가입 조건에는 연령 외 제한은 없지만 지원되는 해택이 조금씩 다릅니다.

10년간 최대 지원 금액이 5,754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연소득 최대 월 납액 정부지원금
2,400만원 이하 30만원 최대 40만원
2,400~3,600만원 이하 50만원 최대 20만원
3,600만원 초과 60만원 최대 10만원
4,800만원 초과 70만원 지원금 없음/비과세,소득공제 혜택

20세에 청년 도약 적금을 들었다면 10년 납입 후 1억이라는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원금액은 연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지원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20세부터 들 수 있기에 20세에 소득 수준이 많은 사람은 흔치 않기에 괜찮은 조건인 것은 확실합니다.

 

사회 초년생인 30세 초반을 예로 들자면 보통 그 나이 때 연소득 3,600~4,800만 원 사이를 받는 직장인이 많으니, 이 소득을 기준으로 보면 매달 60만 원을 입금한다면 국가 보조금 매월10만을 받게되면 실제 수익률은 거의 2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단 60만원을 넘어야 10만 원을 받는 것이고 더 적은 금액을 넣으면 비례해서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다만 만기가 10년으로 길기에 청년희망 적금의 2년 만기보다 무려 8년을 더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0년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인 조건입니다. 도전해 볼 아주 좋은 기회인 듯합니다.

 

2.-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해서 과연 무엇이 유리할까?-

 

청년도약계좌 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보시는 바와 같이 두상품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희망 적금의 경우 소득제한 기준이 명확하여 그에 해당되지 않는 청년들은 가입을 할 수 없다는 게 개인적으로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청년 희망적금은 2년이라는 짧은 기준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장기적 플랜으로 접근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엇이 유리하다 그보다는 어느 것이 나에 조건에 적합한지 잘 보시고 결정하는 게 좋을듯십고 아직 청년 도약 계좌는 정식 발표가 실행된 게 아니라서 발표하시기 전에 꼼꼼히 비교해보시고 발표 즉시 빠른 결정을 하시는 게 유리할 듯합니다.

 

청년희망적금도 처음 오픈하였을 때 너무 많은 인파가 몰려 혼란을 야기했듯이 이번에도 그럴 듯 하니 잘 준비하셔서 제일 먼저 선점할 수 있는 분이 되었으면 합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