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가가 감소하는 기록을 보였습니다. 여러 스트리밍 업체들의 경쟁 속에 시장의 포화상태로 만들어 성장세가 둔화된 것이 주된 원인 인듯합니다. 그밖에 요금 인상 등 여러 제약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넷플릭스 11년만에 첫 가입자 감소
넷플릭스가 19일 발표한 1분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3월 넷플릭스 가입자는 20만 명이나 감소했음을 발표했습니다. 2011년 넷플릭스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넷플릭스에 가입자 감소의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중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러시아에서 철수하기로 결정으로 70만 명의 가입자를 잃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근본적이 원인은 아닌듯 보입니다. 1분기 가입자 증가폭이 경영진의 예측보다 나빴으며 올 2분기 추가로 가입자 200만 명이 줄어들 것이라고 판다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전성기가 지나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수치라 시사하는 바가 큰것은 사실입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 폭락
실적을 발표 후 후폭풍은 예상보다 크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규장에서 3% 상승 마감하였으나 시간 외 25% 넘게 폭락하면서 주주들의 가슴에 비수를 꼽고 있는 실정인 것 같습니다.
2분기 전망도 어둡게 전망하는 예상이 나오고 있어 주가는 한동안 좋지 못한 행보를 보일 것이 자명해 보입니다.
경쟁 스트리밍 업체 디즈니와 로큐, 스포티파이 등도 시간 외 동반 거래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넷플릭스의 정책은 이대로 괜찮은가?
넷플릭스 정책이 독이 되어 가입자 감소의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인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공격적으로 가격 인상과 경쟁 스트리밍 업체보다 조건이 좋지 않은 정책으로 퇴색해 가면서 가입자들의 외면을 받는 것은 아닐까 생각도 해봅니다.
굳이 비싼 요금과, 공유 제한 , 전편 보기 개편이라는 강수로 구독자들의 원성을 받으며 앞으로 수많은 스트리밍 업체의 더 좋은 양질의 콘텐츠 쏟아져 나올 것을 대비해 업계 1위라는 아닐함이 구독자들의 등을 돌릴 요인은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후발 경쟁 스트리밍 업체는 이번의 기회를 발판 삼하 더 공격적인 마케팅을 할 것이며 구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더 나은 서비스로 옮겨가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을 해봅니다.
넷플릭스 정책 변경이 더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넷플릭스 요금 인상/공유 제한/전편 보기 개편에 대한 정보(링크 클릭)
댓글